파란만장차차의티끌모아태산재테크/재테크 마인드 공부중

2023년 경제 전망- 알고 이겨내자

내일도맑음 2023. 1. 17. 02:58
728x90
SMALL

한국 경제는 1960년대 이후 4번의 경제 위기가 찾아 온다.

1980년대    오일 쇼크에 의한  -1.6% 충격

1998년       IMF외환위기에 의한    -5.1% 충격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 의한 0.8% 충격

2020년  팬데믹 경제 위기에 의한   -0.7% 충격

 

 

4번의 경제 위기를 제외하면 23년 가장 성장률이 낮게 예상하고 있어서 경제 위기라기 보다는 침체라는 단어가 더 어울릴 것 같다는 전문가들의 예측이다.

 

23년 경제 성장률을 각 기관마다 예상치 발표를 보면  

 

기관-> 그레이트리세션 KDI   한국은행 기획재정부
경제성장률 전망치 1.9% 1.8% 1.7% 1.6%

 

가장 정부의 이미지를 생각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기획재정부의 경제 성장률이 1.6%로 낮다라는 점과 모든 기관에서 2022년 보다 경제 성장률을 낮게 평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23년 경제는 모든 기관에서 어렵다라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행히 빗나간다면 좋겠지만 위기를 모르고 만나는 것과 알고 준비하고 맞이하면 상황은 조금 달라질 것이다.

 

정부의 2023년 경제 전망

  2022년 2023년
경제성장률 2.5% 1.6%
취업자증감 81만명 10만명
고용률(15~64세) 68.5% 68.7%
소비자물가 5.1% 3.5%
경상수지 220 210
통관수출 6.6% -4.5%
통관수입 19.2% -6.4%

 

물가는 3.5% 정도의 상승을 예상하는 소견이 나오고 있기에 이를 단순히 쉽게 생각해 본다면

나의 경제 성장률을 1.6%인데 물가는 3.5%가 오른다 

->23년을 대비하여 나의 소득은 1.9% 올라가는데 물가는 3.5%이다

  -> 23년을 살아가려면 일단 현금이 필요하구나 라는 간단한 예측을 먼저 해볼 수 있을 것 같다.

 

취업자가 10만명 증가한다

 ->매년 새해에 고등학교 졸업자가 약 50만명인데 10만명만 취업을 한다.

  ->나머지 40만명은 어디에?

 

통관수출  마이너스 4.5%!!! 

   -> 우리나라 소득이 22년 비교해 반이상이 줄어든다. 

    ->나도 소득이 반이 줄어 들 수  있겠구나.

    

 

 

정신이 번쩍 들면서 대비를 하자는 취지에서 단순히 작성해 보았다.

 

오늘도 무엇인가를 열심히 찾아 헤매고 나를 채찍질 하면서 23년을 대비하고 있다.

 

23년은 금리가 높으니  비상금(현금)  예적금위주로 비중을 가지고 있고,

소득 대비 대출금이 많다면 대출금 상환도 고려해 보아야 할 것 같다.

  ->비상금은 일단 1년치 소득을 마련할 예정이고

       금리 인상을 보면서 적금이나 예금 만기 되는것을 대출금 상환할 예정이다.

728x90
반응형
LIST